ISSN : 2287-173X   /   E-ISSN : 2733-4848

Vol.15 no.4 (2020)
pp.33~53

DOI : 10.16938/ijtfs.2020.15.4.033

포스트 코로나시대 전시산업 주최자의 인식변화 연구

한진석

(한양대학교 관광학부 겸임교수)

황희곤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컨벤션이벤트경영학과 교수)

김미견

(경희대학교 스마트관광원 박사과정)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코로나19바이러스 감염증 등으로 급변하고 있는 시대적 변화 와 이후의 포스트 코로나시대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지속가능한 전시산업을 유도해 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전시산업의 방향성을 기획하고 조절할 수 있는 전시산 업 주최자의 인식변화를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5가지의 연구문제를 제시하였으며 IPA기 법을 통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속유지영역은 ‘전시회 개최 시 사용되는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이해 요구’, ‘참가업체와 참관객의 실시간 interactive communication’,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된 hybrid communication의 중요도’, ‘온라인 전시회 개최 시 주최자의 온라인 이벤트 기획에 대한 역량 요구’, ‘지출 구조의 변화 필요’로 나타났으며, 우선 시정노력 영역은 ‘전시데이터의 빅데이화를 통한 communication활성화’, ‘온라인 참가자에 대한 수익모델 구축’, ‘새로운 수익 모델 개발의 필요성’, ‘사회문화적 파급효과 등 새로운 평가 모델 개발 및 도입의 필요성’으로 나타났다. 낮은 우선순위 영역은‘B2C전시회에서 온라인 활용의 중요 성’, ‘재택근무 등 비대면 조직운영의 중요성’, ‘경제적 파급효과 등 정량적 평가 를 통한 성과평가의 중요도’, ‘전시회 참가 만족도, 충성도 등 온라인 시대에 맞는 질적평가의 필요성’으로 나타났으며, 과잉노력 지양 영역은 ‘B2B전시회에서 온라인 활용의 중요성’, ‘부대행사 동반개최에 대한 중요성’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시산업 주최자는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인해 발생된 국내 전시산업의 위기에 대하여 일정부분 인식의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검증의 수치 상 국내 전시산업 주최자들의 상황적 인식변화가 좀 더 적극적이 고 능동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Research on the change of perception of the exhibition industry organizers under post-corona era

Jin-Seok Han

Hee-Kon Hwang

Migyeon K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for direction of the exhibition industry to find ways to induce a sustainable exhibition industry by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and the post-corona era. It is to examine the change of perception of the organizers of the exhibition industry. In order to effectively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5 questions of research were presented and verified through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As a result, “Keep up the good work”areas are‘requirement of understanding of the online platform used when holding an exhibition’, ‘real-time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exhibitor and visitors’, ‘importance of hybrid communication combining on- and off-line’, ‘during open an online exhibition, the organizer's ability to plan online events is required’, ‘need to change the expenditure structure’. “Concentrate here”areas are‘activation of communication thru the changing of exhibition data into big data’, building a profit model for online participant’, ‘needs for development of new profit model’, ‘needs of developing and introducing a new evaluation model like to socio cultural impact’. “Low priority”areas are‘importance of online utilization in B2C exhibitions’, ‘importance of untact organizing operations such as working from home’, ‘importance of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quantitative evaluation like economic impact’, ‘satisfaction and loyalty by exhibition participation’, ‘needs of qualitative evaluation suitable for the online era’. “Possible overkill”areas are‘ importance of online utilization in B2B exhibitions’,‘value of side events held at the same time’. Consequently, it is verified that the exhibition organizers have been changed perception notion of the crisis in the domestic exhibition industry caused by COVID-19.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 change of situational insight of domestic exhibition industry organizers should be made more proactive based on the various verification figures.

Download PDF list




 
서울시 성북구 화랑로13길 60, 동덕여자대학교 숭인관 801호 (02748)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961-0866      사무국 메일: kates_2005@naver.com      편집위원회 메일: ijtradefair@daum.net
COPYRIGHT ⓒ The Korea Association of Trade Exhibition Studies. ALL RIGHTS RESERVED.